두달전 치학신문이 창간 31돌에 즈음 전국18개 지부장중 군진 공직 2개지부장을 제외한 16개 지부장과 서울지역 25개 구회장 중 치협임원을 제외한 24개 구회장 등 오피니언 리더들에게 ‘박태근집행부’의 재취임 임기절반인 180일 동안의 회무수행 평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결과는 14명(87.5%)의 지부장과 16명(66.7%)의 구회장 등 30명(75%)이 응답을 했다.
2~3차례 시도에도 불구 끝내 연락이 닿지않은 지부장과 구회장들이 10명이나 된다. 반환점에 이른 박태근집행부의 사업추진 방향이나 현안해결 대처 등 중간 평가는 긍정과 부정적 시각이 팽팽하게 나타났다.
지부장 구회장 30명중 △잘한다 7명(23%) △보통이다 7명(23.3%) △잘못한다 6명(205) △응답하지 않겠다 10명(33.33%) 등으로 나뉘었다.
재취임 전부터 부각된 박태근회장의 당선무효소송·치협의 압수수색·임시총회를 통한 이만규감사 불신임안 부결 등 어느 역대 집행부에서도 보기드문 대형 악재가 계속 터졌지만 영·호남을 앞세운 지방 지부장들의 계속된 지지가 그대로 부정적 평가를 상쇄하는 효과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 특이한 부분은 대답치 않겠다는 무응답이 10명(33.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자세히 뜯어 보면 잘한다 잘못한다의 어느쪽에 무게를 둘것인가는 독자들의 판단에 맞기는 것이 현명하다 하겠다.
반환점에 이른 박태근회장의 시급한 당면과제와 걸림돌은 누가 무래도 ‘사법리스크’가 분명해 보인다. 현재 박태근회장은 서울성동경찰서가 동부지검에 기소의견으로 송치한 ‘배임횡령 및 부당청탁금지법’ 위반혐의와 용산경찰서가 서부지검에 송치한 ‘개인정보보호법’ 위반혐의 경찰의 인지수사인 ‘협회비 1억5천만원 횡령’혐의 등 총4건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같은 사법리스크가 마무리 되지 않은 상황에서 내년에 치를 치협창립 100주년 기념사업 등 어떠한 이벤트가 나온다 해도 회원들에게 먹혀들기란 쉽지 않을듯 하다.
3년 임기내내 사법리스크를 안고 갈것인가, 아니면 법원 판결에 앞서 선제적으로 한치의 의문도 없이 낱낱이 솔직히 밝히고 회원들에게 이해를 구할것인가가 관심의 초첨이 되고 있다.
특히 설문과정에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부장과 영호남 등 지방 지부장간의 의견차는 당분간 쉽게 풀기가 어렵겠다는 반응이 그대로 비춰졌다.
총체적인 원인은 치협회장 선거가 낳은 후유증으로 귀결된다.